it 10

[책 요약]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I지식_Ch6. 기계번역

Ch6. 기계번역: 외국어를 몰라도 파파고만 있다면인공지능의 시대가 열린 후, 구글번역이 어느날부터 굉장이 자연스러워짐.구글 번역이 도입한 기술은 '인공 신경망'인간의 언어를 몇 가지 규칙만으로 설명하기 불가능함.일상적인 대화에는 오류가 매우 많음. 하지만 인간은 이해가 가능.기계번역: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를 기계를 사용해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일시스트란: 기계번역을 대표하는 회사. 규칙기반 기계번역을 이용함예시 기반 기계번역: 규칙기반 대신 풍부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식.사람들이 실제로 활용하는 문장 전체의 맥락을 살펴보는 데 초점.좀 더 자연스러운 문장으로 번역하기 위해, 확률 계산을 단어 단위에서 구문 단위로 확장함.신경망 기반 기계번역: 구문 단위를 넘어 아예 문장 전체에 딥러닝을 적용문장 전체를..

북클럽 2024.10.27

[책 요약]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I지식_Ch5. 스마트 스피커

Ch5. 스마트 스피커: 시리는 쓸모 있는 비서가 될 수 있을까  해외국내서비스명2011 애플-음성 비서 시리 : 음성인식이라는 개념을 대중화2014 아마존-스마트 스피커 에코2016 구글-구글 어시스턴트2016 skt-음성인식 스피커 NUGU2017 네이버-클로바2017 카카오-카카오미니  초기 시리는 스타트업에서 만들어졌으며 음성인식 기능이 없었고, 그저 텍스트를 입력하면 응답해주는 챗봇에 가까웠음.하지만 이사회에서 챗봇으로는 시장의 반응을 얻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출시를 1년 연기하고 음성인식 기능을 추가하게 됨!2010년, 드디어 아이폰 앱으로 시리가 출시되고,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음.스티브 잡스가 이 스타트업을 인수하였고, 1년 후 2011년 10월 iPhone 4S에 정식으로 시리가 탑재.시리팀..

북클럽 2024.10.21

서비스 기획자의 제미나이 활용법 (아티클스터디)

사내 아티클 스터디_1기2주차 1회분원문 :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2665/ 제미나이로 서비스 기획하기 A to Z | 요즘IT처음 제미나이를 사용한 목적은 다른 AI 서비스와 성능을 비교하기 위함이었습니다. ‘동일한 프롬프트를 입력했을 때 결과가 어떻게 다를까?’를 살펴보고 싶었기 때문이죠. 하지만 지난 5월 14yozm.wishket.com🌱 Gemini 소개2024년 2월 8일, 구글이 기존에 선보였던 LLM(Large Language Model)인 Bard가 Gemini로 리브랜딩 했다.동시에 유료 멤버십을 필요로 하는 Gemini Advanced를 출시하였다.(관련 기사)  ✨Gemini 기능다른 LLM과 비교되는 특징 위주로 정리해 보면 다..

아티클 스터디 2024.08.16

커플 앱 '썸원' 서비스 분석 (아티클스터디)

사내 아티클 스터디_1기1주차 2회분원문 : https://maily.so/unsexybusinesskr/posts/1f33ef19 작은 프로젝트로 시작, 연간 수십억을 벌고 있는 커플 앱 이야기어떻게 100만명이 쓰는 앱을 만들까? 투자금 하나 없이.maily.so 1. '썸원' 서비스 소개캐치프레이즈: 연인과 함께 쓰는 커플 다이어리핵심 기능 : 하루에 한 번 질문이 배달. 질문에 답변을 하면 반려몽이 자라남(다마고치 컨셉)홈페이지 링크: https://www.sumone.co/ko/  DAU 100만 명 이상 (이중 절반 이상이 남미, 대만, 일본 등 해외유저)가입자수 : 1000만 이상   2. 서비스 런칭 과정창업자: 프리랜서 디자이너 + (현재)CTO + 디자이너 3명. 풀타임 이전에 서비스 ..

아티클 스터디 2024.08.09

논리적인 기획을 하고 싶다면 : 로직트리 사용하기 (아티클스터디)

사내 아티클 스터디_1기1주차 1회분원문 :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2669/ 기획자가 알아야 할 ‘로직 트리’ 활용법 | 요즘IT무언가를 기획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대부분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일 것입니다. 기획의 목적은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다만yozm.wishket.com내용 요약기획자의 본질 업무 : ⭐명확한 문제 정의⭐ → 엉뚱한 문제를 해결하지 않도록.근본적인 문제를 찾는 방법론 중 하나 : 로직 트리  로직트리의 장점 로직트리를 사용하면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할 가능성이 높아짐.(보통은 문제가 아닌, 솔루션에 몰두하기 쉬움)상하좌우 논리와 인과관계 오류를 바로잡기 쉬움단편적인 내용부..

아티클 스터디 2024.08.07

프로덕트 방법론: 애자일, 스크럼, 칸반, 워터폴의 차이

IT업계에 종사중이라면 '애자일'과 '워터폴' 이 두 가지 용어를 많이 들어봤으리라 생각한다. 본 포스팅에서는 애자일 방법론의 대표적 예시인 스크럼, 칸반을 알아보고워터폴 방식과의 비교와 함께 각각의 정의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애자일(Agile) vs. 워터폴(Waterfall)애자일과 워터폴은 둘 다 소프트웨어 개발 및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접근 방식(프로덕트 방법론)이다.이해하기 쉽게 그림을 먼저 살펴보자. 애자일(Agile)은 사전적 의미로 '날렵한', '민첩한'을 뜻한다.현재 대다수의 스타트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개발 프로세스 방법론이며, 1~4주 단위의 짧은 '스프린트' 단위를 계속 거치면서 제품(서비스)을 만들어나간다.신속하게 시장의 변화와 고객의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다. 반면 워터폴(Wate..

About PM 2023.10.31

[자격증] SQLD 시험 정보 총정리! 시험 신청, 합격 점수, 기출 사이트, 시험 구성

❓SQLD 시험이란 SQLD는 Structured Query Language Developer의 약자로,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조작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SQL 언어를 다루는 시험이다. SQLD 시험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 주관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련 자격증이다. 시험은 보통 연 4회이고 시험일로부터 약 한 달 전쯤부터 신청일이다. 시험 신청은 아래의 사이트에서 진행하면 된다. https://www.dataq.or.kr/www/main.do 메인화면 : 데이터자격시험 www.dataq.or.kr 응시 자격 : 제한없음 💸시험 응시료 : 50,000원💸 📒시험문제 구성 SQLD 시험은 총 50문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데이터 모델과 ..

데이터 분석 2023.08.01

[앗티끌05] 스타트업과 과학의 연관성? IT업계에서의 가설과 실험법을 알아보자

아티클 원문: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2071/ 스타트업을 위한 '실험'과 '가설' 개념 설명 | 요즘IT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든 린 스타트업 개념을 접해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빠르게 실험해서 가설을 검증하라는 말은 스타트업 업계에서는 금과옥조처럼 받들어집니다. 반면, 실 yozm.wishket.com 연구실 3곳을 거치며 이공계에 몸을 담궜던 나는 IT 업계로 전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가설이 어떻고 실험을 한다는 둥의 표현을 사용 중이다. 과학자와 PM으로써의 가설, 실험의 정의는 어떻게 다를까? PM으로써 가설과 실험과정에서 중요한 점은 무엇일까. 들어가며 Q. 다음의 설명은 어느 산업군에서 수행하는 과정일까? 가설 설정 -..

아티클 스터디 2023.06.23

O2O 서비스란? O2O의 역사, 온디맨드(On-Demand) 의미

오늘은 "O2O 서비스"에 대한 컨텐츠를 작성해보려고 한다.O2O란 Online to Offline의 준말로, 온라인에서 시작된 사용자 경험이 오프라인에 종료되는 서비스 방식을 의미한다.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 후, 오프라인에서 실제로 이를 이용하거나 배달을 받는 모든 서비스들이 O2O에 속한다. 1. O2O 서비스 예시배달의 민족: 배민 플랫폼에서 음식을 주문 => 오프라인에서 배달을 받음스카이스캐너: 앱에서 항공권을 예약 => 오프라인에서 비행기를 탑승인터파크 티켓: 앱에서 뮤지컬/전시/공연 등의 티켓을 구매 => 오프라인에서 이를 관람 그리고 O2O와 함께 항상 따라오는 키워드는 "온디맨드(On-Demand)"이다. 온디맨드는 비즈니스의 한 형태인데, 사용자 경험은 온라인 ..

서비스 기획 2023.05.22

그래서 프로덕트 매니저(PM)가 뭔데? PM의 역할, 기획자/PM/PO 직무 차이점, 필요한 역량 등

프로덕트 매니저는 관련 전공이 있는 것도 아니고,PM이 되기 위한 정해진 길도 없다.그래서인지 IT업계와 거리가 멀거나 주변에 PM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이 없다면더욱 알기 어려운 직무인 것 같다. 그래서 PM이 뭔데?  1. PM의 역할아래는 위키백과에 정의된 '프로덕트 매니저'이다. 프로덕트 매니저(제품 매니저, Product manager)는 조직내에서 제품 개발에 관련된 연구, 선택, 추진 등의 제품 관리 활동을 하는 전문가를 말한다.  언뜻 보기에 대기업의 팀장님이나 부장님의 역할과 비슷해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IT업계에서의 PM의 역할이란 아래의 설명이 훨씬 적합한 것 같다. 프로덕트의 가치=유저들의 사용성을 높이는 것좀 더 실질적으로는 하나의 앱(프로덕트)애서 줄 수 있는 가치를 최대화하는 ..

About PM 2023.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