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 PM이 되어가는 과정

  • 홈

서브타입 1

[SQLD] 개념정리 - 데이터 모델과 성능(2): 테이블 분할, 슈퍼/서브 타입, 분산 데이터베이스

✅대량 데이터 발생에 따른 테이블 분할 : 대량 데이터가 존재하는 테이블에 많은 트랜잭션이 발생 -> 성능 저하 -> 테이블 구조에 대해 수평/수직 분할 설계하여 성능 저하를 예방할 수 있음 테이블의 데이터는 Block 단위로 디스크에 저장됨. 칼럼이 많아지면 하나의 로우를 저장 시 물리적인 디스크의 여러 블록에 데이터가 저장될 가능성이 높아짐. 즉, 하나의 행을 읽더라도 여러 개의 블록을 읽어야 함 -> 해당 SQL문의 Block I/O가 많아짐. 1) 로우 체이닝(Row Chaining): 로우 길이가 길어서 데이터 block 하나에 데이터가 모두 저장되지 않고, 두 개 이상의 블록에 걸쳐 하나의 로우가 저장되어 있는 형태 2) 로우 마이그레이션(Row Migration): 데이터 블록에서 수정이 발..

데이터 분석 2023.09.05
이전
1
다음
더보기
프로필사진

시니어 PM이 되어가는 과정

현명한 올라운더 PM으로 성장하기 위해 인사이트를 기록합니다.

반응형
  • 분류 전체보기
    • About PM
    • 서비스 기획
    • AI 서비스 기획
    • 데이터 분석
    • 아티클 스터디
    • 북클럽
    • 퇴사로그

최근글과 인기글

  • 최근글
  • 인기글

Archives

Calendar

«   2025/07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